비헤이비어 트리 에디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태스크(Task) 노드에 대한 레퍼런스 페이지입니다. 태스크는 AI를 이동하거나 블랙보드 값을 조정하는 등 각종 '작업'을 수행하는 노드입니다. 태스크에는 데코레이터(Decorators) 또는 서비스(Services)를 어태치할 수 있습니다.
Finish With Result
Finish with Result 태스크 노드는 지정된 결과를 내고 바로 완료합니다. 이 노드로 분기를 강제 종료하거나 정의된 결과를 바탕으로 분기를 계속할 수 있습니다.
프로퍼티 |
설명 |
||||||||
---|---|---|---|---|---|---|---|---|---|
결과(Result) |
|
||||||||
자체 재시작 무시(Ignore Restart Self) |
활성화된 경우 이 태스크가 실행되도록 선택되었지만 이미 실행 중이면 태스크 검색이 삭제됩니다. |
||||||||
노드 이름(Node Name) |
비헤이비어 트리 그래프에 표시되는 노드 이름입니다. |
Make Noise
제어되는 폰에 PawnNoiseEmitter 컴포넌트가 있다면, Make Noise 태스크는 해당 폰이 '노이즈를 만들도록'(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합니다. 노이즈는 PawnSensing 컴포넌트를 가진 다른 폰이 들을 수(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습니다.
프로퍼티 |
설명 |
---|---|
소리 크기(Loudness) |
생성되는 소리의 크기입니다. |
자체 재시작 무시(Ignore Restart Self) |
활성화된 경우 이 태스크가 실행되도록 선택되었지만 이미 실행 중이면 태스크 검색이 삭제됩니다. |
노드 이름(Node Name) |
비헤이비어 트리 그래프에 표시되는 노드 이름입니다. |
Move Directly Toward
Move Directly Toward 태스크 노드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지정된 액터 또는 위치(벡터) 블랙보드 항목을 향해 직선으로 AI 폰을 이동합니다. 이동하는 데 AI 내비게이션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 태스크 대신 Move To 노드를 사용합니다.
프로퍼티 |
설명 |
---|---|
허용 가능 반경(Acceptable Radius) |
폰이 타깃에 얼마나 가까워야 태스크가 성공하는지입니다. |
필터 클래스(Filter Class) |
사용할 내비게이션 데이터입니다. None 으로 설정하면 디폴트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사용합니다. |
스트래핑 허용(Allow Strafe) |
AI가 목표 지점으로 이동할 때 스트래핑을 허용할지 여부입니다. |
도달 테스트에 에이전트 반경 포함(Reach Test Includes Agent Radius) |
활성화하면 AI와 목표 위치 사이의 한계치에 AI의 캡슐 반경을 추가합니다. |
도달 테스트에 목표 반경 포함(Reach Test Includes Goal Radius) |
활성화하면 AI와 목표 위치 사이의 한계치에 목표의 캡슐 반경을 추가합니다. |
부분 경로 허용(Allow Partial Path) |
활성화하면 AI가 목표에 도달할 수 없을 때 불완전한 경로를 사용하도록 허용합니다. |
움직이는 목표 트래킹(Track Moving Goal) |
활성화하면 목표 액터가 움직일 때 해당 액터로 가는 경로가 자동으로 업데이트됩니다. |
목표 위치 투영(Project Goal Location) |
활성화하면 사용 전에 목표 위치가 내비메시에 투영됩니다. |
블랙보드 값 관찰(Observe Blackboard Value) |
블랙보드에서 이동 목표가 변경되면 이동을 새 위치로 리디렉트합니다. |
블랙보드 키(Blackboard Key) |
확인할 키입니다. 오브젝트(Object)처럼 |
자체 재시작 무시(Ignore Restart Self) |
활성화된 경우 이 태스크가 실행되도록 선택되었지만 이미 실행 중이면 태스크 검색이 삭제됩니다. |
노드 이름(Node Name) |
비헤이비어 트리 그래프에 표시되는 노드 이름입니다. |
Move To
Move To 태스크는 캐릭터 무브먼트(Character Movement) 컴포넌트를 갖춘 폰이 내비메시를 사용하여 벡터 블랙보드 키로 이동하도록 합니다.
프로퍼티 |
설명 |
---|---|
허용 가능 반경(Acceptable Radius) |
폰이 타깃에 얼마나 가까워야 태스크가 성공하는지입니다. |
필터 클래스(Filter Class) |
사용할 내비게이션 데이터입니다. None 으로 설정하면 디폴트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사용합니다. |
스트래핑 허용(Allow Strafe) |
AI가 목표 지점으로 이동할 때 스트래핑을 허용할지 여부입니다. |
도달 테스트에 에이전트 반경 포함(Reach Test Includes Agent Radius) |
활성화하면 AI와 목표 위치 사이의 한계치에 AI의 캡슐 반경을 추가합니다. |
도달 테스트에 목표 반경 포함(Reach Test Includes Goal Radius) |
활성화하면 AI와 목표 위치 사이의 한계치에 AI의 캡슐 반경을 추가합니다. |
부분 경로 허용(Allow Partial Path) |
활성화하면 AI가 목표에 도달할 수 없을 때 불완전한 경로를 사용하도록 허용합니다. |
움직이는 목표 트래킹(Track Moving Goal) |
활성화하면 목표 액터가 움직일 때 해당 액터로 가는 경로가 자동으로 업데이트됩니다. |
목표 위치 투영(Project Goal Location) |
활성화하면 사용 전에 목표 위치가 내비메시에 투영됩니다. |
블랙보드 값 관찰(Observe Blackboard Value) |
블랙보드에서 이동 목표가 변경되면 이동을 새 위치로 리디렉트합니다. |
블랙보드 키(Blackboard Key) |
확인할 키입니다. 오브젝트(Object)처럼 |
자체 재시작 무시(Ignore Restart Self) |
활성화된 경우 이 태스크가 실행되도록 선택되었지만 이미 실행 중이면 태스크 검색이 삭제됩니다. |
노드 이름(Node Name) |
비헤이비어 트리 그래프에 표시되는 노드 이름입니다. |
Play Animation
Play Animation 노드는 지정된 애니메이션 에셋을 플레이하는 용도입니다.
선택된 애니메이션은 반드시 비헤이비어 트리가 제어하는 폰의 스켈레톤과 일치해야 합니다.
프로퍼티 |
설명 |
---|---|
플레이할 애니메이션(Animation to Play) |
플레이할 애니메이션 에셋입니다. |
루핑(Looping) |
활성화하면 애니메이션 재생이 계속 루프됩니다. |
논 블로킹(Non Blocking) |
활성화하면 태스크는 애니메이션을 트리거하고 즉시 종료됩니다. |
자체 재시작 무시(Ignore Restart Self) |
활성화된 경우 이 태스크가 실행되도록 선택되었지만 이미 실행 중이면 태스크 검색이 삭제됩니다. |
노드 이름(Node Name) |
비헤이비어 트리 그래프에 표시되는 노드 이름입니다. |
Play Sound
Play Sound 노드는 재생할 사운드(Sound to Play) 프로퍼티에 지정된 사운드를 재생합니다.
프로퍼티 |
설명 |
---|---|
재생할 사운드(Sound to Play) |
재생할 사운드 큐 에셋입니다. |
자체 재시작 무시(Ignore Restart Self) |
활성화된 경우 이 태스크가 실행되도록 선택되었지만 이미 실행 중이면 태스크 검색이 삭제됩니다. |
노드 이름(Node Name) |
비헤이비어 트리 그래프에 표시되는 노드 이름입니다. |
Push Pawn Action
Push Pawn Action 노드를 사용하면 지정한 액션을 폰의 컨트롤러에 푸시할 수 있습니다.
프로퍼티 |
설명 |
---|---|
액션(Action) |
폰의 컨트롤러에 푸시할 액션의 타입입니다. |
자체 재시작 무시(Ignore Restart Self) |
활성화된 경우 이 태스크가 실행되도록 선택되었지만 이미 실행 중이면 태스크 검색이 삭제됩니다. |
노드 이름(Node Name) |
비헤이비어 트리 그래프에 표시되는 노드 이름입니다. |
Rotate to Face BBEntry
Rotate to Face BBEntry 태스크는 연결된 폰을 지정된 블랙보드 키 방향으로 회전시킵니다.
폰이 성공적으로 회전하려면 컨트롤러 회전 요 사용(Use Controller Rotation Yaw) 이 활성화되어 있어야 합니다.
프로퍼티 |
설명 |
---|---|
정밀도(Precision) |
성공 조건으로 간주할 각도입니다. |
블랙보드 키(Blackboard Key) |
타깃은 이 블랙보드 키가 있는 방향으로 회전합니다. 벡터, 오브젝트, 액터를 키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
자체 재시작 무시(Ignore Restart Self) |
활성화된 경우 이 태스크가 실행되도록 선택되었지만 이미 실행 중이면 태스크 검색이 삭제됩니다. |
노드 이름(Node Name) |
비헤이비어 트리 그래프에 표시되는 노드 이름입니다. |
Run Behavior
Run Behavior 태스크는 서브트리를 실행 스택으로 푸시하여 다른 비헤이비어 트리를 실행하는 용도입니다. 하지만 서브트리 에셋을 런타임에서 변경할 수 없다는 제한이 있습니다. 이 제한은 부모 트리에 입력된 서브트리의 루트 레벨 데코레이터를 지원하기 위해서입니다. 실행 트리의 구조 역시 런타임에서 변경할 수 없습니다.
런타임에서 변경 가능한 서브트리가 필요한 경우, Run Behavior Dynamic 을 사용하면 됩니다.
프로퍼티 |
설명 |
---|---|
비헤이비어 에셋(Behavior Asset) |
실행할 비헤이비어 트리 에셋입니다. |
자체 재시작 무시(Ignore Restart Self) |
활성화된 경우 이 태스크가 실행되도록 선택되었지만 이미 실행 중이면 태스크 검색이 삭제됩니다. |
노드 이름(Node Name) |
비헤이비어 트리 그래프에 표시되는 노드 이름입니다. |
Run Behavior Dynamic
Run Behavior Dynamic 태스크를 사용하면 서브트리를 실행 스택으로 푸시할 수 있습니다. 서브트리 에셋은 런타임에서 비헤이비어 트리 컴포넌트(Behavior Tree Component) 의 SetDynamicSubtree 함수를 사용하여 할당할 수 있습니다.
서브트리의 루트 레벨 데코레이터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프로퍼티 |
설명 |
---|---|
주입 태그(Injection Tag) |
서브트리 주입을 위해 이 태스크를 식별할 수 있도록 게임플레이 태그(Gameplay Tag) 에디터를 엽니다. |
디폴트 비헤이비어 에셋(Default Behavior Asset) |
실행할 초기 비헤이비어 트리 에셋입니다. |
자체 재시작 무시(Ignore Restart Self) |
활성화된 경우 이 태스크가 실행되도록 선택되었지만 이미 실행 중이면 태스크 검색이 삭제됩니다. |
노드 이름(Node Name) |
비헤이비어 트리 그래프에 표시되는 노드 이름입니다. |
Run EQSQuery
Run EQSQuery 노드는 태스크 노드가 실행될 때 지정된 인바이런먼트 쿼리 시스템(Environment Query System, EQS) 에셋을 실행합니다.
프로퍼티 |
설명 |
||||||||
---|---|---|---|---|---|---|---|---|---|
쿼리 템플릿(Query Template) |
실행할 EQS 에셋입니다. |
||||||||
쿼리 환경설정(Query Config) |
EQS 테스트의 일부로 포함할 추가 파라미터입니다. |
||||||||
EQS 쿼리 블랙보드 키(EQSQuery Blackboard Key) |
쿼리 템플릿 을 지정하지 않고 사용할 EQS 쿼리 템플릿을 저장하는 선택적 블랙보드 키입니다. |
||||||||
실행 모드(Run Mode) |
|
||||||||
실패 시 BB 업데이트(Update BBOn Fail) |
EQS 쿼리가 실패할 때 블랙보드를 업데이트합니다. |
||||||||
블랙보드 키(Blackboard Key) |
EQS 결과를 바탕으로 업데이트할 블랙보드 키 값입니다. |
||||||||
자체 재시작 무시(Ignore Restart Self) |
활성화된 경우 이 태스크가 실행되도록 선택되었지만 이미 실행 중이면 태스크 검색이 삭제됩니다. |
||||||||
노드 이름(Node Name) |
비헤이비어 트리 그래프에 표시되는 노드 이름입니다. |
Set Tag Cooldown
쿨다운 태그(Cooldown Tag) 값을 설정하며, 쿨다운 태그 데코레이터(Cooldown Tag Decorator) 와 함께 사용하여 비헤이비어 트리가 실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프로퍼티 |
설명 |
---|---|
쿨다운 태그(Cooldown Tag) |
쿨다운에 사용되는 게임플레이 태그입니다. |
쿨다운 대기시간(Cooldown Duration) |
쿨다운의 길이입니다. 단위는 초입니다. |
기존 대기시간에 추가(Add to Existing Duration) |
지정된 게임플레이 태그에 기존 쿨다운이 있다면 더 추가할지 여부입니다. |
자체 재시작 무시(Ignore Restart Self) |
활성화된 경우 이 태스크가 실행되도록 선택되었지만 이미 실행 중이면 태스크 검색이 삭제됩니다. |
노드 이름(Node Name) |
비헤이비어 트리 그래프에 표시되는 노드 이름입니다. |
Wait
비헤이비어 트리에서 대기(Wait) 태스크를 사용하면 지정된 대기 시간(Wait Time) 이 지날 때까지 이 노드에서 트리를 대기시킬 수 있습니다.
프로퍼티 |
설명 |
---|---|
대기 시간(Wait Time) |
대기할 시간입니다. 단위는 초입니다. |
랜덤 편차(Random Deviation) |
대기 시간 프로퍼티에서 랜덤 시간을 더하거나 뺍니다. |
자체 재시작 무시(Ignore Restart Self) |
활성화된 경우 이 태스크가 실행되도록 선택되었지만 이미 실행 중이면 태스크 검색이 삭제됩니다. |
노드 이름(Node Name) |
비헤이비어 트리 그래프에 표시되는 노드 이름입니다. |
Wait Blackboard Time
Wait 태스크 노드와 동일하게 작동하지만 블랙보드 값을 대기 시간으로 가져옵니다.
프로퍼티 |
설명 |
---|---|
블랙보드 키(Blackboard Key) |
대기 시간을 참조할 float 타입의 블랙보드 키입니다. |
자체 재시작 무시(Ignore Restart Self) |
활성화된 경우 이 태스크가 실행되도록 선택되었지만 이미 실행 중이면 태스크 검색이 삭제됩니다. |
노드 이름(Node Name) |
비헤이비어 트리 그래프에 표시되는 노드 이름입니다. |
커스텀 태스크
새 태스크(New Task) 버튼을 클릭하면 커스텀 블루프린트 로직 및/또는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새로운 태스크 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블루프린트 태스크는 네이티브 태스크보다 느립니다. 콘텐츠를 최적화하려면 네이티브 태스크를 사용하세요.
커스텀 로직에는 다음 파라미터 또한 포함됩니다.
프로퍼티 |
설명 |
---|---|
간격(Interval) |
태스크의 후속 틱과 틱 사이에 걸리는 시간을 정의합니다. |
자체 재시작 무시(Ignore Restart Self) |
활성화된 경우 이 태스크가 실행되도록 선택되었지만 이미 실행 중이면 태스크 검색이 삭제됩니다. |
프로퍼티 디테일 표시(Show Property Details) |
노드 프로퍼티의 세부 정보를 표시합니다. |
노드 이름(Node Name) |
비헤이비어 트리 그래프에 표시되는 노드 이름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