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E4 메시 드로잉 파이프라인(Mesh Drawing Pipeline) 은 드로 콜을 병합하는 메시 자동 인스턴싱 기능을 사용하여 그래픽 퍼포먼스를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이제 모바일 기기에서도 일부 세팅을 설정하여 이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계
프로젝트의 Config 폴더를 찾아 DefaultEngine.ini. 파일을 엽니다.
다음 줄을 추가합니다.
r.Mobile.SupportGPUScene=1 r.Mobile.UseGPUSceneTexture=1
변경사항을 저장하고 파일을 닫습니다.
이 기능을 활성화하면 모바일 플랫폼의 셰이더가 리빌드됩니다. 언리얼 에디터가 Android 프리뷰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면 에디터가 이에 따라 셰이더를 리컴파일합니다. 크기가 큰 프로젝트는 반복작업이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결과
프로젝트에서 위 세팅을 활성화하면 모든 디바이스에 자동 인스턴싱이 활성화됩니다. r.Mobile.SupportGPUScene
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자동 인스턴싱을 활성화합니다. 하지만 사용하는 버퍼는 데스크톱 빌드와 동일합니다. Mali 디바이스는 64kb 이하의 버퍼만 지원하므로 이 기능을 정상적으로 지원할 수 없습니다. r.Mobile.UseGPUSceneTexture
를 사용하면 자동 인스턴싱 프로세스가 버퍼 대신 텍스처를 사용하여 필수 정보를 저장하므로 Mali 디바이스로도 자동 인스턴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한 사항
메시 드로잉 파이프라인 페이지에서 설명한 드로 콜 병합 제한 사항과 더불어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해서도 자동 인스턴싱과 관련된 몇 가지 제한 사항이 존재합니다.
모바일 자동 인스턴싱은 주로 GPU가 아닌 CPU 성능에 큰 영향을 받는 CPU 바운드 프로젝트에 유리합니다. 자동 인스턴싱이 GPU 바운드 프로젝트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매우 낮지만, GPU 바운드 프로젝트는 자동 인스턴싱을 사용해도 퍼포먼스가 개선될 확률이 낮습니다.
메모리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게임의 경우
r.Mobile.UseGPUSceneTexture
를 끄고 버퍼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지만, 이 경우 Mali 디바이스에서는 기능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자동 인스턴싱의 효과는 프로젝트의 정확한 사양에 크게 좌우됩니다. 따라서 퍼포먼스를 크게 향상할 수 있을지 확인할 수 있도록 자동 인스턴싱을 활성화한 상태로 빌드를 생성하여 프로파일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프로파일링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퍼포먼스 및 프로파일링 섹션을 참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