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처 스트리밍 환경설정

플레이 도중 텍스처를 메모리에 로드 및 언로드하는 시스템입니다.

빌드된 텍스처 스트리밍의 정확도를 검사한 후, 텍스처 스트리머의 작동방식과 우선권을 조정하고 싶을 수 있습니다. 아래 파라미터는 환경설정 파일을 통해 조정할 수 있으며, 대부분은 런타임에서 콘솔 창을 통해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명령

설명

r.TextureStreaming

텍스처 스트리머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합니다. 비활성화되면 텍스처가 렌더링에 전혀 사용되지 않아도 모든 텍스처 밉이 메모리에 로드됩니다. 이 옵션은 필요에 따라 런타임에서 토글할 수 있습니다.

r.Streaming.PoolSize

엔진에서 텍스처에 할당하는 풀 크기(Mb)입니다. 이 풀에는 UI 텍스처, NeverStream 텍스처, 큐브맵, 스트리밍 텍스처가 포함됩니다. 일부 플랫폼의 경우 이 풀에 GPU 파티클 버퍼나 버텍스 버퍼같은 텍스처 이외 리소스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0으로 설정하면 풀 크기는 무제한입니다.

r.Streaming.UseFixedPoolSize

0 이외의 값인 경우, 텍스처 풀 크기를 런타임에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

r.Streaming.FramesForFullUpdate

텍스처 스트리머를 완전히 업데이트할 때마다 사용되는 프레임 수입니다. 업데이트할 때마다 각 텍스처의 필수 해상도를 재계산하고 밉 로드 또는 언로드 요청을 생성합니다. 값이 높을수록 텍스처 스트리머 CPU 사용량이 줄어들고, 값이 낮을수록 반응 속도가 향상됩니다.

r.Streaming.UseNewMetrics

호환성 전용입니다. false로 설정하면 텍스처 스트리머가 4.12 버전처럼 진행됩니다.

r.Streaming.MaxTempMemoryAllowed

텍스처 업데이트에 허용된 임시 메모리 양(Mb)입니다. 이 메모리의 양은 텍스처 스트리머 고사(starve) 상태를 방지할 수 있을 정도로 커야 하고, 낭비되는(미사용) 메모리가 없을 정도로 작아야 합니다.

r.Streaming.HLODStrategy

계층형 LOD 텍스처 로드 전략을 조절합니다.

  • 0 : 모든 밉 스트리밍을 허용합니다.

  • 1 : 마지막 밉만 스트리밍합니다. 다른 밉은 항상 로드됩니다.

  • 2 : 어떤 밉도 스트리밍하지 않습니다. 모든 밉이 항상 로드됩니다.

r.Streaming.HiddenPrimitiveScale

텍스처를 참조하는 컴포넌트가 보이지 않을 때(즉, 바운딩 박스가 가려졌을 때) ‘원하는' 해상도에 적용할 스케일입니다. 이미 제한된 텍스처의 질이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 사용가능한 최대 해상도 이하로 범위제한이 되기 전 해상도에만 영향을 줍니다. 즉, 뷰포트의 해상도에 적합한 텍스처에만 영향을 줍니다.

r.Streaming.MaxEffectiveScreenSize

0이 아닌 경우, '원하는' 텍스처 해상도를 계산할 때 스트리머가 고려하는 화면의 크기를 제한하게 됩니다. 고해상도에서 크기가 훨씬 큰 스트리밍 풀이 필요해지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r.Streaming.Boost

‘원하는' 텍스처 해상도에 영향을 끼치는 글로벌 부스트입니다.

r.Streaming.MipBias

스트리머가 각 텍스처에 가장 큰 밉을 로드하지 못하도록 하는 데 사용되는 글로벌 밉 바이어스입니다. 낮은 스트리밍 풀을 맞추는 데 사용됩니다. 낮은 r.Streaming.Boost 값이나 제한적인 r.Streaming.MaxEffectiveScreenSize 값처럼 스트리머가 뷰포트에 어느 밉 로드를 시도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영향을 줍니다.

이 바이어스 적용 방식에는 몇 가지 예외가 있습니다.

  • 터레인 & 랜드스케이프 텍스처 : 바이어스가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 계층형 LOD 텍스처 : 바이어스가 최대 해상도를 제한하지 않습니다.

  • 라이트맵 & 섀도맵 : 바이어스가 최대 해상도만 제한합니다.

r.Streaming.UsePerTextureBias

모든 시점에서 글로벌 밉 바이어스의 효과를 ‘원하는' 밉이 아닌 최대 허용 밉으로만 제한한 다음, 스트리밍 풀에 맞출 수 있도록 텍스처에만 이 효과를 적용합니다. 각 텍스처에는 별도의 밉 바이어스가 있으며, 그 범위는 예산 연산에 따라 0에서 `MipBias`까지입니다.

r.Streaming.DropMips

스트리밍 풀이 충분해도 밉이 메모리에 유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디버그 옵션입니다.

  • 0 : 밉을 낮추지 않습니다.

  • 1 : 캐시된 밉을 낮춥니다.

  • 2 : 캐시된 밉과 숨긴 밉을 낮춥니다.

이 설정의 목적은 원하는 밉 계산의 정확도를 평가하는 것입니다. 표시된 해상도가 이전 로드 요청이나 숨긴 프리미티브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r.Streaming.FullyLoadUsedTextures

사용되는 모든 텍스처를 가능한 최대 해상도로 스트리밍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열려있는 한 메모리에 유지합니다. 텍스처 스트리밍을 완전히 끄면 전혀 사용되지 않는 텍스처가 로드되어 결국 메모리가 추가로 필요하게 되므로, 그 대안으로 사용하는 용도입니다.

r.Streaming.UseAllMips

텍스처 그룹 세팅과 시네마틱 세팅에 따른 해상도 제한을 전부 제거할지 여부입니다. 아트 쇼케이스 또는 홍보물 제작용입니다.

r.Streaming.AnalysisIndex

머티리얼 텍스처 좌표 스케일 정확도 뷰 모드에서 사용되며, 개별 텍스처의 정확도를 조사할 수 있습니다.

r.Streaming.CheckBuildStatus

활성화하면 엔진은 텍스처 스트리밍을 다시 빌드해야 하는지 검사하고, 시뮬레이트 또는 에디터에서 플레이(PIE) 모드일 때 경고를 표시합니다.

r.Streaming.DefragDynamicBounds

활성화하면 미사용 다이내믹 바운드가 업데이트 루프에서 제거됩니다.

r.Streaming.LimitPoolSizeToVRAM

활성화하면 텍스처 풀 크기가 가용 GPU 메모리 수준으로 제한됩니다.

r.Streaming.MinMipForSplitRequest

0이 아닌 경우, 보이지 않는 밉도 로드해야 할 때 텍스처 스트리머가 보이는 밉부터 텍스처에서 먼저 로드할 수 있게 합니다. 앞으로 보이게 될 강제 로드되는 밉이나 숨겨진 밉보다 현재 보이는 밉의 우선순위를 높여 비주얼 퀄리티를 향상시킵니다.

r.Streaming.NumStaticComponentsProcessedPerFrame

0이 아닌 경우, 레벨이 보이기 전 엔진이 프레임마다 점증적으로 로드할 컴포넌트 수를 설정합니다. 모빌리티가 스태틱으로 설정된 컴포넌트에 적용됩니다. 기본값은 50입니다.

r.Streaming.ScaleTexturesByGlobalMyBias

‘원하는' 스트리밍 텍스처 해상도의 스케일을 글로벌 밉 바이어스에 따라 낮출 것인지 여부입니다.

r.Streaming.UseMaterialData

텍스처 스트리밍에 머티리얼 텍스처 스케일 및 좌표를 사용할지 여부입니다.

언리얼 엔진 문서의 미래를 함께 만들어주세요!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문서 사용에 대한 피드백을 주세요.
설문조사에 참여해 주세요
취소